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올림픽공원138

올림픽공원에서 만난 장끼와 까투리, 청솔모, 박새 4월9일 올림픽공원을 산책하며 만난 친구들 꿩과 청솔모, 박새입니다. 선사문명과 화려한 백제문명을 꽃피웠던 터전에 조성된 올림픽공원은 도심 속의 생태공원으로 인근 주민들의 오아시스입니다. Z6+ AF-S 200-500mm ED VR 장끼와 까투리 수컷은 장끼, 암컷은 까투리, 새끼는 꺼병이 한국의 대표적인 텃새 꿩: 수컷의 깃은 금속광택이 있는 녹색이며 머리 양측에는 귀 모양의 깃털이 서 있다. 암컷의 깃은 담황갈색으로 보호색의 역할을 한다. 4-7월경 땅에 얕은 구덩이를 만들어 풀을 깔고 6-20개의 알을 낳아 약 22일간 알을 품는다. 새끼는 부화 뒤 몇 시간이 지나면 어미와 함께 둥지를 떠난다. 까투리(암꿩) 장끼(수꿩) 장끼 머리 양측에 귀 모양의 깃털이 보인다. 청솔모 청솔모는 주로 나무 위에서.. 2020. 4. 9.
올림픽공원 벚꽃 꿀빠는 직박구리, 성내천 조류 200-500mm 줌렌즈에 DX모드 촬영으로 750mm 효과인데, 사진을 다시 크롭하였습니다. Z6+ AF-S 200-500mm ED VR 직박구리 시끄러운 수다쟁이 직박구리는 우리나라 전역 심지어 서울 등 대도시에서도 흔히 보이는 텃새 벚꽃 꿀 먹는 직박구리 뭘 봐요? 하는 듯 머리털이 곤두선 직박구리 부리 끝에 노란 꽃가루... 꿀 먹은거 딱 걸렸어~ㅎㅎ 장끼(수꿩) 암꿩은 까투리, 새끼는 꺼병이...ㅎㅎ 붉은귀거북? (생김새는 비슷한데 붉은 줄이 안보임) 붉은귀거북은 한국,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에 걸쳐 서식하고 있다. 생명력이 강해 키우기가 쉬워 애완용으로 인기가 높았다. 또한 방생 등의 종교행사에도 많이 이용되어 하천에 방류되었다. 한국 토종 붕어 등도 가리지 않고 다 잘 먹는 잡식성이며, 환경.. 2020. 4. 6.
서울 잠실 벚꽃 풍경, 올림픽공원 주공5단지 석촌호수 코로나바이러스 전파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일환으로 잠실 올림픽공원 일부 구간과 석촌호수 산책길은 전면 폐쇄되어 벚꽃 길은 출입금지, 개방된 산책로와 송파대로에서 본 토요일(4/4) 오후 풍경입니다. Z6+ 24-70s F4 꽃잎이 눈처럼 흩날리는 팔각정 성내천으로 이어지는 팔각정 아래 둘레 길은 통행이 가능하나 파크텔 방향 올림픽로에서 팔각정에 이르는 위쪽 길은 출입 금지 성내천 둑방길 강변테크노마트 잠실올림픽아이파크 올림픽대교와 아차산 잠실파크리오 롯데월드타워 롯데캐슬골드 잠실주공5단지 롯데호텔월드 레이크팰리스 석촌호수 서호 송파대로에서 본 석촌호수, 롯데월드 글씨 뒤쪽은 갤러리아팰리스 2020. 4. 4.
올림픽공원 풍경- 왜가리 청설모 화창한 봄날(3월 11일, 수) 올림픽공원에서 왜가리와 청설모를 만났습니다. Z6+ AF-S 200-500mm VR 몽촌호수 왜가리(Grey Heron) 황새목 백로과에 속하는 흔한 여름물새인 왜가리는 하천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며 물고기, 개구리, 쥐, 뱀은 물론 심지어 작은 오리, 족제비 같은 온갖 동물들을 먹이로 삼는데, 올림픽공원에서는 중대백로 무리와 함께 집단 서식한다. 중대백로: 어? 다리가 한개? ㅎㅎ 새들이 한쪽 다리로 서서 쉬고 있는 것은 다리를 털 속에 넣어 체열 손실을 줄이기 위한 행동이라고 한다. 왜가리가 벌써 소나무 위 둥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중대백로와 함께 집단 서식하는 왜가리는 덩치가 크고 힘센 대장이 가장 높고 전망 좋은 곳에 둥지를 짓는다고 한다. 산수유 꽃.. 2020. 3. 11.
반응형